런던·도쿄보다 비싼 서울 먹거리 물가… OECD 평균의 1.5배 > 이런저런이야기

본문 바로가기

 <  영국이야기  <  이런저런이야기

런던·도쿄보다 비싼 서울 먹거리 물가… OECD 평균의 1.5배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중경삼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2.♡.14.71) 댓글 0건 조회 194회 작성일 25-09-04 03:35

본문

서울의 한 대형 마트에서 3일 쌀 판매대를 지켜보는 소비자의 모습.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지난 2일 쌀 20kg의 평균 소매가격은 전년보다 17.2% 오른 6만 294원을 기록했다. /연합뉴스
서울의 한 대형 마트에서 3일 쌀 판매대를 지켜보는 소비자의 모습.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지난 2일 쌀 20kg의 평균 소매가격은 전년보다 17.2% 오른 6만 294원을 기록했다. /연합뉴스

‘한국 4.11달러, 미국 3.26달러, 일본 3.57달러.’

글로벌 커피 체인 스타벅스에서 판매하는 카페라테 톨 사이즈(355ml)의 국가별 가격표다. 3일 미국 창업 정보 사이트 ‘스위치 온 비즈니스’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우리나라 스타벅스 커피 가격이 이처럼 다른 나라들보다 꽤 비싼 편으로 나타났다. 미국, 일본은 물론 이탈리아(2.84달러), 호주(3.97달러), 캐나다(3.85달러)도 우리나라보다 저렴했다. 주요 선진국보다 적게는 4~5%, 많게는 40% 넘게 커피 값이 비싼 것이다. 최근 미국을 다녀온 이모(41)씨는 “미국 물가가 많이 올랐다고 해서 커피가 한국보다 훨씬 비쌀 줄 알았는데, 큰 차이 없거나 저렴해 놀랐다”고 말했다.

이뿐 아니다. 마트에서 장바구니에 자주 담는 각종 식료품 가격은 고물가로 악명 높은 유럽 국가는 물론 미국, 호주 등 주요 선진국보다 우리나라가 훨씬 높다. 지난달 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4.9%로 1년 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푸드플레이션’이 심화하는 가운데 서민들 주머니 사정이 더욱 팍팍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그래픽=양진경
그래픽=양진경

◇식료품 물가, 세계 2위

3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물가 수준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우리나라의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가격은 OECD 38국 평균보다 1.5배나 높았다. 한국보다 음식료품 물가가 높은 나라는 유럽의 대표적 고물가 국가인 스위스밖에 없었다. 우리나라의 식료품 물가 수준은 OECD 평균을 100으로 했을 때 147로, 미국(94), 영국(89), 독일(107), 일본(126) 등보다 높다.

서울의 식료품 물가도 주요 대도시에 비해 훨씬 높다. 지난 6월 글로벌 투자은행(IB) 도이체방크가 전 세계 69개 주요 도시를 조사했더니, 서울이 전 세계에서 여덟째로 식료품 물가가 비싼 도시로 꼽혔다. 서울보다 식료품이 비싼 도시는 스위스 제네바·취리히, 미국 뉴욕·샌프란시스코·보스턴·시카고·LA뿐이었다. 도쿄·런던·파리·시드니·홍콩 등도 서울보다 식료품 가격이 저렴했다.

그래픽=백형선
그래픽=백형선

◇농산물 자급률은 낮고, 유통 비용은 높아

우리나라의 식료품 물가가 높은 이유는 농산물 자급률이 낮아 해외 농산물 값 상승의 직격탄을 맞을뿐더러 농산물 유통 구조도 복잡해 유통 비용이 높기 때문이다. 2022년 기준 한국의 식량 자급률은 49.3%로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이다. 2021~2023년 밀·옥수수 등 곡물의 평균 자급률은 19.5%밖에 안 된다. 이는 120% 이상인 미국은 물론 20%대 후반인 일본보다도 낮은 것이다. 곡물을 중심으로 식자재 수입 의존도가 높다 보니 원화 환율 변동이나 원자재 값 상승에 그대로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 원화 환율은 1400원 선을 위협하고 있다. 김상효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실장은 “2020~2022년 국제 곡물 가격 급등으로 한국도 곡물류와 가공 식품류 가격이 크게 올랐다”고 했다.

농산물과 식자재 유통 과정에서 붙는 비용이 계속 높아지는 것도 문제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농산물 구매 가격에서 유통 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을 가리키는 ‘유통 비용률’은 1999년 39%에서 2022년 49.7%까지 높아졌다. 양파의 유통 비용률은 76.3%에 달하고, 사과·배의 유통 비용률도 각각 62.6%, 53.9%에 달한다.

전문가들은 푸드플레이션을 잡지 못하면 식료품비 지출이 큰 서민들의 주머니 사정이 더욱 팍팍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소득 하위 20%인 1분위의 지난해 소득 대비 식료품 지출 비율은 31%로 5분위(10.4%)의 3배에 달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실장은 “저소득층이나 서민이 이용할 수 있는 저가형 식료품 소매 채널을 정부가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푸드플레이션

푸드플레이션(foodflation)은 푸드(음식)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의 합성어다. 급격한 식품 가격 상승으로 인해 식료품 가격 상승률이 전체적인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높은 상황을 가리킨다.

추천0 비추천0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5,359건 1 페이지
이런저런이야기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
공지 운영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294 1 2024-07-24
공지 운영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73 0 2025-04-11
5357 no_profile 곽찌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 0 2025-09-05
5356 no_profile herb1228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5 0 2025-09-05
5355 no_profile Sophiapar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 0 2025-09-05
5354 no_profile 이하루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 0 2025-09-05
5353 no_profile 런던킹스골프모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4 0 2025-09-05
5352 no_profile Kimm1239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 0 2025-09-04
5351 no_profile ahn11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6 0 2025-09-04
열람중 no_profile 중경삼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5 0 2025-09-04
5349 no_profile 런던드래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 0 2025-09-03
5348 no_profile zjshw166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4 0 2025-09-03
5347 no_profile HOBULSTUDI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7 0 2025-09-03
5346 no_profile zoey25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 0 2025-09-03
5345 no_profile 생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3 0 2025-09-02
5344 no_profile 주영한국문화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7 0 2025-09-02
5343 no_profile 기뮹1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84 0 2025-09-01
5342 no_profile 중경삼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7 0 2025-09-01
5341 no_profile LovelyBLok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2 0 2025-09-01
5340 no_profile Forame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4 0 2025-09-01
게시물 검색
내가 쓴 글 보기
영국이야기
공지사항
이런저런이야기
영국일기
영국사진앨범
영사 사진전 수상작
요리/맛집/여행
영사칼럼
영사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