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운슬 텍스 및 생활비.. 꼭 부탁드립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40% 세금은 40000파운드부터 7만파운드까지 적용되요. UK Tax 사이트 가서 보시면 나와요. 10000파운드는 공제, 4만파운드 까지는 20% 적용되고 7만 이상부터 45% 십오만이상은 50% 적용이 됩니다. 혹시 아직 NI # 를 받지 않으셨을 경우도 우선 최고 세금 50%를 떼는데요. NI 번호를 받으면 이 경우 나중에 돌려 받게 되구요.
카운슬 택스는 부부일 경우 할인 없고 싱글일 경우 20% 할인 받아요. 학생의 경우는 잘 모르겠지만 급여가 나왔으니 카운슬 택스 내셔야 할 거 같아요. 카운슬 택스는 버로우 마다 달라서 사시는 곳 오피스에 물어 보셔야 합니다.
>
>
> 저희 남편이 런던에서 포닥으로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학교에서 나온 세금에 관한 서류를 받았는데 읽어보니깐
> 남편 연봉의 경우 40프로를 떼더라구요? 허거걱..... ㅡㅡ
> 정말 이렇게나 많이 떼나요? 30프로까진 예상했었는데 예상보다 십프로나 더 추가된걸 보니까 정말 막막하네요..
> 그나마 집을 좀 싼걸 얻어서(한달에 980파운드 정도) 천만다행이지 안그랬음 정말 못살았겠어요.
> 지금 세금 떼고 난 이 월급으로도 세식구가 살아질지 확신이 없지만요. ㅠㅠ
>
> 딴건 그렇다 치고, 카운슬 텍스라고 세금내는게 또 있던데 이거에 관해 잘 아시는 분 계신지요?
> 학생은 면제된다고 들은 것 같은데 포닥도 해당이 되나요? 만약 해당이 되어서 면제가 된다면, 와이프의 경우는
> 어떤지 궁금해요. 와이프는 학생이 아니고 그냥 전업주부라면 카운슬 텍스를 또 따로 내야 하는 건가요?
> 카운슬 텍스도 동네마다, 집값마다 다 다르다고 하니 그것도 감이 안오네요. 참고로 지역은 뉴몰든입니다.
>
> 이렇게 많은 세금을 내면서 영국의 보통 사람들은 어찌 사는지 정말 궁금하네요.. ㅠㅠㅠㅠㅠㅠㅠ
>
카운슬 택스는 부부일 경우 할인 없고 싱글일 경우 20% 할인 받아요. 학생의 경우는 잘 모르겠지만 급여가 나왔으니 카운슬 택스 내셔야 할 거 같아요. 카운슬 택스는 버로우 마다 달라서 사시는 곳 오피스에 물어 보셔야 합니다.
>
>
> 저희 남편이 런던에서 포닥으로 일을 하게 되었는데요, 학교에서 나온 세금에 관한 서류를 받았는데 읽어보니깐
> 남편 연봉의 경우 40프로를 떼더라구요? 허거걱..... ㅡㅡ
> 정말 이렇게나 많이 떼나요? 30프로까진 예상했었는데 예상보다 십프로나 더 추가된걸 보니까 정말 막막하네요..
> 그나마 집을 좀 싼걸 얻어서(한달에 980파운드 정도) 천만다행이지 안그랬음 정말 못살았겠어요.
> 지금 세금 떼고 난 이 월급으로도 세식구가 살아질지 확신이 없지만요. ㅠㅠ
>
> 딴건 그렇다 치고, 카운슬 텍스라고 세금내는게 또 있던데 이거에 관해 잘 아시는 분 계신지요?
> 학생은 면제된다고 들은 것 같은데 포닥도 해당이 되나요? 만약 해당이 되어서 면제가 된다면, 와이프의 경우는
> 어떤지 궁금해요. 와이프는 학생이 아니고 그냥 전업주부라면 카운슬 텍스를 또 따로 내야 하는 건가요?
> 카운슬 텍스도 동네마다, 집값마다 다 다르다고 하니 그것도 감이 안오네요. 참고로 지역은 뉴몰든입니다.
>
> 이렇게 많은 세금을 내면서 영국의 보통 사람들은 어찌 사는지 정말 궁금하네요.. ㅠㅠㅠㅠㅠㅠㅠ
>
비추천0
댓글목록
알피에스님의 댓글

카운실 텍스는 주거세로---주택에 부여되는 세금으로 가족 수와 상관없습니다.
집의 시가와 규모, 거리로 책정되는 것으로 풀타임 학생을 제외하고는
모두 내야합니다.
이것은 엄중한 세법으로 2달 이상 밀릴 시는 바로 고발이 되고 때로는
입건되어 법적인처벌도 받습니다.
그리고 학생이라해도---전 가족이 학생이어야지---함께 사는 사람이 직장인이나
한 사람이라도 일반인 일 때에도 역시 카운실 텍스를 내야합니다.
뉴몰든 근처는 보통 주택에 따라 1년에 1,000파운드에서---2,500파운드(5베드룸 이상 규모가 큰 집)이상을 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해마다 다소 차이가 있고 늘 올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겁니다.
네라님의 댓글

포닥은 내셔야합니다. 100프로 내셔야합니다. 와이프가 풀타임학생이 아닌이상.
jholic님의 댓글

어느 지역에 사느냐에 따라/ 집의 규모에 따라 금액은 다르지만 benefit에 해당하지 않는 이상 내게 되니다. 한국에서 구청에 내는 주거세, 와 비슷한 개념인데, 액수는 현저한 차이가 있죠..